미국 정부가 북한의 무기 개발 자금을 차단하기 위해 나섰습니다. 북한 IT 인력들이 위장 취업을 통해 벌어들인 암호화폐 774만 달러가 미 법무부에 의해 압수됐습니다. 블록체인과 NFT까지 활용된 이 정교한 자금 세탁 작전은, 북한의 사이버 전략이 얼마나 치밀하게 진화했는지를 보여줍니다.

■ 가상 인물·NFT까지… 북 IT 노동자, 미국 회사에 위장 취업
미 법무부(DOJ)는 6월 5일, 북한의 불법 자금 세탁 활동과 관련해 774만 달러(약 106억 원) 상당의 암호화폐 몰수 소송을 제기했다고 밝혔습니다.
검찰에 따르면, 북한 국적의 IT 인력들이 중국, 러시아 등지에서 활동하며 미국 및 전 세계 기업에 원격근무로 위장 취업한 뒤, USDC, USDT 등 암호화폐 형태로 급여를 받아온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들은 위조된 신분과 위치 정보를 이용해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채용됐으며, 획득한 암호화폐를 다양한 방식으로 세탁했습니다.
■ 교묘한 세탁 방식: 크로스체인, 토큰 스왑, NFT, 미국계 계좌 이용
북한 IT 요원들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자금의 출처와 흐름을 위장했습니다:
- 가짜 온라인 프로필 생성
- 거래 쪼개기(fragmentation)
- 크로스체인 전송 및 토큰 스왑
- NFT 구매
- 미국 기반의 온라인 계좌를 통한 위장
궁극적으로 자금은 북한으로 송금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북한 외환은행(Foreign Trade Bank)의 심현섭 관계자와 북한 국방성과 연계된 친용(Chinyong) 조직의 CEO 김상만 등이 연루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미국 법무부: "북한의 사이버 자금 조달, 더 이상 묵과하지 않겠다"
미 법무부 형사국의 매튜 R. 갈레오티(Matthew R. Galeotti)는 “이번 몰수 조치는 북한 정부가 암호화폐 생태계를 악용해 불법적 목표를 추진하고 있음을 다시 한 번 입증했다”고 밝혔습니다.
국가안보국의 수지 J. 배이(Sue J. Bai)도 다음과 같이 강조했습니다.
“북한은 수년간 원격 IT 계약과 암호화폐 생태계를 이용해 미국의 제재를 회피하고 무기 프로그램을 자금 지원해왔습니다. 이번 조치는 그러한 자금줄을 전략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법무부의 집중 대응의 일환입니다.”
법무부는 향후에도 북한의 사이버 금융망을 대상으로 모든 법적 수단을 동원하겠다는 방침입니다.
✅ 한 문장 요약:
미국 법무부는 북한 IT 인력들이 위장 취업을 통해 벌어들인 774만 달러 상당의 암호화폐를 압수하며, 북한의 무기 자금줄 차단을 위한 강력한 대응에 나섰습니다.
'Tech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머스크 갈등, 오히려 'X' 앱 대박 터졌다…앱스토어 순위 급상승 (0) | 2025.06.07 |
---|---|
트럼프-머스크 충돌 여파… 테슬라 시가총액 하루 만에 200조 증발 (0) | 2025.06.06 |
아마존, 사람처럼 걷는 로봇 택배원 개발 중…배송 혁신의 미래가 다가옵니다 (0) | 2025.06.06 |
삼성 갤럭시, AI로 잠금화면에서 가상 피팅 후 바로 쇼핑 가능해집니다 (0) | 2025.06.06 |
AT&T, 만 55세 이상 고객 대상 초특가 요금제 출시… 미 전역에서 이용 가능 (0) | 2025.06.06 |